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의 원래 이름은 'X 증후군'이었다. 1988년 미국 의사 G. 리븐이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가 함께 존재하는 것을 발견해 지은 이름이다. 이후 1998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를 '대사증후군'으로 이름 붙였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이 포도당을 제대로 운반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몸에 인슐린이 있어도 고혈당이 개선되지 않고, 인슐린 농도만 높아지는 것이다. 대사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혈당 대사이상에 의한 당뇨병,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중성지방 증가, 고밀도 콜레스테롤, 나트륨 성분 증가로 인한 고혈압, 요산 증가로 인한 통풍 등이 있다. 여기에 보통 복부비만이 동반된다. 전문가들은 대장증후군 환자는 복부비만부터 없애야 한다고 말한다. 복부비만만 줄여..